본문 바로가기

■ 야생화 탐방기168

부산 금정산 / 야생화의 여왕 흰얼레지 알현 2023. 3. 25 (토) // 몇년전부터 야생화의 여왕으로 불리는 얼레지꽃에 꽂힌후 가야산 서성재 아래와 천성산 상리천계곡과 짚북재, 성불계곡등으로 보라색 고운 얼레지꽃을 담아보게 보았다. 머리를 틀어올린 듯한 매력에 끌려 다시 1년을 기다려온 후, 오늘은 만나기가 하늘에 별따기처럼 어렵다는 흰얼레지를 만나러 부산 금정산으로 달려갔다. 금정산 계명천 계곡에 자생한다는 블로그를 보고 탐방을 정했는데 얼레지꽃은 햇볕이 잘 드는날 오전에는 중간쯤 올라가다가 오후에는 뒷쪽으로 꽃잎을 말아 올리는 습성이 있는데, 오늘은 새벽까지 비가 내렸고 잔뜩 궂은 날씨로 얼레지 특유의 예쁜 모습은 접하지 못했지만, 기대했던 흰얼레지꽃을 만나게 되었다. 오후에는 천성산 성불계곡으로 이동하였고 ※ 1~2년 전에 만났던 얼레지.. 2023. 3. 25.
대구 수목원 봄꽃 마중 (2) 2023. 3. 18 (토) // 오전에 경산 삼성산 만주바람꽃을 만나본 후, 오후시간에 대구수목원을 찾았다 코로나 방역이 완화되면서 수목원 실내가 전면 개방되었고 봄꽃들이 피기좋은 시기여서 동강할미꽃과 깽깽이풀꽃까지 만나보는 소중한 시간을 갖게되었다. 며칠전 1부에 이어 수목원 봄꽃맞이 2부를 올려보았는데, 열대식물원과 주변의 야생화 봄꽃들까지 탐방순서대로 정리하여 보았다 ▲ 구분하기 어려운 봄철 꽃나무 ... 간단하게 구분하는 특징들을 모아봅니다 ^&^ (1) 벚꽃은 꽃자루가 길고, 매화꽃 살구꽃은 꽃자루가 짧으므로 살구와 매화꽃은 꽃받침으로 구분하면 되고 (2) 꽃자루가 긴 꽃은 배꽃과 자두꽃이 있는데, 배꽃은 처음에 수술 색이 분홍색이었다가 갈색으로 짙어집니다. (3) 자두꽃은 수술이 유난히 길며.. 2023. 3. 24.
대구 수목원에서 봄꽃 마중 (1) 2023. 3. 18 (토) // 오전에 대덕산 분홍노루귀와 삼성산 만주바람꽃을 만난뒤 오후에 대구수목원으로 이동,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정선 동강유역에만 서식하는 동강할미꽃과 보라색 고운 깽깽이풀꽃까지 만나보게 되었다 매화 살구꽃등 봄꽃들이 만개한 수목원 전역을 돌아보며 쉽게 보기힘든 분재원 야생화와 열대 식물원까지 돌아보았다. 한껏 물이 오른 동강 할미꽃과 멸종위기식물 2급 깽깽이풀꽃 위주로 탐방기를 올려본다 2023. 3. 22.
삼성산 계곡 / 만주바람꽃 꿩의바람꽃 복수초 2023. 3. 18 (토) // 이른시간에 대덕산 청계사 계곡에서 분홍노루귀를 만난뒤 승용차로 30여분 거리에 있는 경산 상대온천으로 이동하여 삼성산 계곡 만주바람꽃 탐방에 나섰다. 매년 이맘때면 3~4번씩 다녀가는 곳으로 지난주말에 다녀간 후 만주바람꽃이 얼마나 컸을까 살펴볼 겸 다시 찾게 되었다. 도로변에 개나리와 목련, 매화와 살구꽃까지 꽃대궐을 이룬 화창한 봄날이라 오후에는 대구 수목원까지 둘러보게 되었다 2023. 3. 20.
대구 대덕산 / 청계사 계곡 분홍노루귀 2023. 3. 18 (토) // 개나리와 매화, 목련까지 한꺼번에 만개하여 화려한 꽃대궐을 차린 주말이다 오늘은 자주가던 대덕산 기슭 청계사 계곡의 분홍노루귀를 만나보고 경산 삼성산 계곡에서 만주바람꽃과 복수초를 만나보았다. 오후에는 대구 수목원에서 동강할미꽃, 깽깽이풀꽃과 각종 야생화를 만나보는 봄나들이를 하였다. 3군데 12 km 정도를 걸었으며 분량이 많아 4번에 나누어 올려볼 예정이다 2023. 3. 18.
경산 삼성산 / 꿩의바람꽃 만주바람꽃 복수초 탐방 2023. 3. 12(일) // 낮기온이 오르면서 봄꽃들이 앞다투어 피어나는 3월 중순, 오후에 비소식이 있어서 아침시간을 이용하여 경산 삼성산 기슭으로 야생화 탐방을 떠났다. 근무처와 가까운 곳이라 해마다 이맘때면 3~4번씩 찾아가는 곳인데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만주바람꽃이 얼마나 자랐나 살펴보려고 찾아갔었다 조금 이른듯 하지만 꿩의바람꽃, 만주바람꽃, 복수초, 현호색(코리달리스)등을 만나보게 되었는데 4가지 야생화들을 5개씩만 올려보며 생강나무꽃과 아직 어린 분홍노루귀까지 챙겨보았다 꿩의바람꽃 / 예전에는 이 꽃이 필때쯤 꿩들이 짝짓기를 하는데, 이 꽃이 핀 후 15일후에 꿩이 알을 낳게되면 사람들이 산으로 올라가 꿩알을 취해 단백질을 보충하였다고 전해진다 .... 하여 꿩의 바람꽃이라 불린다 2023. 3. 15.
밀양 / 금시당(今是堂) 금시매(今是梅) ... 수령 220년 2023. 3. 11(토) // 매년 이맘때면 220년째 밀양강을 내려보는 고택에서 매화나무가 고운 꽃을 피우는데 사람들은 이를 금시당(今是堂) 금시매(今是梅)라 부른다. 집 주인의 호를 따서 금시당이라 하였고 220년동안 꽃을 피우는 매화를 금시매라고 부르게 되었다. 올해까지 7년째 찾아보는 곳인데 매년 3월 중순쯤이면 전국의 사진 마니아들을 불러모으는 사진 명소이다. 금시당은 조선 명종때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난 이광진(李光軫) 선생이 만년에 귀향해 후학들을 가르치기 위해 마련한 별서(別墅)이다. 2023. 3. 12.
포항 구룡포 발산리 / 분홍노루귀, 흰노루귀, 복수초 탐방 2023. 3. 4(토) // 기온이 훌쩍 올라간 주말, 연례행사처럼 포항 오천읍 대골 계곡으로 청노루귀를 담은후 오후에는 30분 거리에 위치한 구룡포 발산리로 달려갔다. 여기도 매년 찾아가는 곳으로 덕성교회앞 계곡으로 작은 산길을 오르면 복수초와 노루귀들이 지천으로 널려있는 곳이다. 복수초는 수를 헤아릴수 없을 만큼 많고 솜털 뽀송한 흰노루귀와 분홍노루귀까지 만나보며 오전에 만난 변산바람꽃과 함께 하루만에 봄철 야생화 모두를 만나보는 진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2023. 3. 8.
포항 오천읍 / 대골 청노루귀~변산바람꽃 2023. 3. 4(토) // 1년동안 기다려온 야생화의 계절, 오늘은 포항 오천읍 대골계곡에서 청노루귀를 만났다 오늘까지 7번째 청노루귀 탐방인데, 청노루귀는 워낙 귀하신 몸이라 운제산 산여계곡과 대골계곡에서 자생한다 조금 이른 듯 하지만, 봄가뭄에도 불구하고 푸른색을 선명하게 띈 청노루귀 20여개를 알현하게 되었다 변산바람꽃까지 엄청 만나 보았으며 오후에는 구룡포 발산리로 이동하여 흰노루귀와 분홍노루귀, 엄청많은 복수초까지 만나보았는데 구룡포 발산리 야생화는 다음번에 올릴 예정이다 2023. 3. 5.
통도사 / 능수매화, 만첩홍매 분홍매 자장매 출사 2023. 3. 1 (수) // 오전에 천성산 상리천 야생화 탐방을 마치고 귀가길에 양산 통도사에 들리게 되었다. 지난 1/20일 자장매와 홍매를 알현한 후 40여일만에 다시 찾게되었는데 그 사이 능수매화와 만첩홍매 등 주변의 매화들이 만개하였다기에 그냥 지나칠 수 없어 고운 모습들을 담아보았다. 삼일절 공휴일이라 가족단위로 많은 탐방객들이 매화주변으로 몰려들며 봄맞이 축제장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였고 380년된 자장매(慈藏梅)와, 만첩홍매, 분홍매와 능수매까지 봄향 가득한 한마당이었다 2023. 3. 3.
천성산 상리천 / 너도바람꽃~흰노루귀 탐방 2023. 3. 1 (수) // 3월 첫날, 올해로 6년째 연례행사처럼 양산 천성산 상리천으로 야생화 탐방을 떠났다 매년 이맘때면 상리천 계곡에 너도바람꽃과 흰노루귀가 가장 먼저 피고 연이어 꿩의바람꽃과 얼레지꽃 등을 피우며 상리천 계곡을 야생화 천국으로 만들어간다. 승용차로 1시간 20여분을 달려 계곡입구에 도착하니 일기예보대로 봄비가 부슬부슬 내리며 건조했던 대지를 촉촉히 적셔나간다. 오늘도 혼자만의 호젓한 탐방길을 마치고 귀가길에 통도사 만첩홍매와 자장매, 백매를 담았는데 후속으로 올려볼 참이다 ※ 내원사 매표소 ~ 노전암 ~ 짚북재 아래계곡 ... 왕복 11 km // 4시간 30여분 소요 2023. 3. 2.
안강 금곡사~화산곡지 변산바람꽃 탐방 2023. 2. 25 (토) // 오늘은 변산아씨를 만나는 날이다. 매년 이맘때면 설레이는 마음으로 기다리던 날이라 며칠전부터 일기예보까지 챙겨보다가 날이 밝기가 무섭게 안강 화산곡지~금곡사 계곡으로 승용차를 몰았다 집에서 1시간 20여분을 달려 금곡사 계곡부터 찾았는데 쌀쌀한 날씨에도 변산아씨들이 곱게 차려입고 마중을 나왔으며 1시간정도 데이트를 즐긴후, 다시 화산곡 저수지 안쪽으로 내려가서 거기서도 변산바람 꽃님이들을 만나보았다. 복수초는 많이 사그러졌지만 변산바람꽃은 절정기였다 . 2023. 2. 25.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