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야생화 탐방기168

울산 어물동 황토전 변산바람꽃 탐방 2023. 2. 18(토) // 매년 이맘때면 기다려지는 변산아씨로 불리는 변산바람꽃, 안강 화산곡지와 경주 시부거리, 울산 어물동 황토전에 자생하는데 첫 나들이로 울산 어물동 황토전으로 차를 몰았다 며칠전 눈이내려 꽃들이 많이 상했지만 그래도 찾아주는 길손맞이에 곱게 단장한 변산아씨와 복수초, 흰노루귀까지 야생화 3종세트를 만나며 봄기운을 느껴보는 나들이가 되었다. 개체수가 적은 편은 아니나, 며칠전 내린 폭설과 오늘 아침까지 내린 비에 꽃잎이 찢기고 상한것이 많아 잘 보존된 꽃만 몇송이 올려보았다. 다음주 부터는 안강 금곡사와 화산곡지, 경주 홈골과 시부거리, 천성산 상리천 너도바람꽃, 포항 오천읍 대골 청노루귀등으로 봄 야생화 탐방을 떠날 예정이다 2023. 2. 18.
대구수목원의 봄맞이 2023. 2. 5(일) // 입춘이 하루 지나간 정월 대보름날 오후, 봄꽃을 기다리는 조급한 마음에 가까운 대구수목원을 찾아보았다 매화는 아직 봉오리 수준이어서, 개화를 기다려야 하고 실내 식물원을 돌아보며 몇 장 담아보았다 2023. 2. 8.
봄보다 먼저피는 야생화 / 복수초, 변산바람꽃, 노루귀 바람꽃 정리 / 변산바람, 너도바람, 꿩의바람, 만주바람, 홀아비바람, 조선바람꽃 매년 이맘때면 1년만에 만나게 되는 야생화들 생각에 조급한 마음 달래며 달력을 몇번이나 뒤적거리곤 한다 올해로 5년째 마음의 몸살을 앓게하는 녀석들이라 야생화 자생지에 귀를 기울이며 개화시기를 저울질 해 보는데 올해는 1.14일 가덕도에서 복수초를 만났지만 아직은 잠잠한 상태이다. 가덕도를 시작으로 부산 암남공원이 뒤를 잇고 안강 금곡사 계곡, 천성산 상리천, 오천읍 산여계곡, 단석산 홈골, 경주 시부거리, 밀양 황토전 등의 자생지에서 2~3월 사이에 봄 야생화들이 꽃을 피우게 된다. 야생화 3종세트로 유명한 복수초 변산바람꽃, 노루귀를 포함하여 만나기 쉽지않은 꽃들만 종류별로 4개씩 40개를 올려본다 (1) 복수초(福壽草.. 2023. 2. 2.
양산 통도사 380년 자장매(慈藏梅) ~ 홍매(紅梅) 알현 2023. 1. 20(금) // 오늘은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매화꽃을 피운다는 통도사 자장매(慈藏梅)를 알현하였다 설 연휴 전이라 일찍퇴근하여 매년 이맘때면 꼭 찾아가는 양산 통도사 380년생 자장매와 홍매를 만나러 갔는데 노거수 자장매는 1월 첫주간에 꽃을 피웠는지 일부는 벌써 시들었고, 영산전 입구 홍매는 붉은빛 머금고 아름다운 자태를 연출하고 있었다. 작년보다 일찍 찾아본 양산 통도사 자장매와 홍매를 올려본다 梅一生寒不賣香 / 매일생한불매향 매화는 한 평생 추워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 / 상촌(象村) 신흠(申欽) ※ 최근 4년간 담아둔 통도사 홍매(紅梅) 2023. 1. 20.
성주 성밖숲 맥문동 ~ 수령 300~500년생 왕버들 군락지 탐방 2022. 9. 3 (토) // 초강력 태풍이 예고된 주말, 비소식이 있어 가까운 성주 성밖숲 맥문동 탐방을 다녀왔다 매년 찾아가는 곳인데, 코로나 생활방역 때문에 관리가 소홀하여 올해도 작황이 좋지않다기에 생략하려다가 이른시간에 잠시 찾아보게 되었다. 개화기에 지역적인 가뭄으로 예년만 못하였지만 그래도 곱게 피었고 전국에서 드물게 보는 300~500년생 왕버들 군락지를 같이 만나는 의미있는 탐방이 되었다 2022. 9. 3.
부산 화명생태공원 가시연꽃 탐방 2022. 8. 27 (토) // 가시연꽃을 만나기위해 몇년전부터 시도를 하였지만 멸종위기식물이며 가시연꽃을 발견해도 꽃을 잘 피우지가 않아 만나기가 힘이들었는데, 마침 부산 화명생태공원에 꽃이 피었다는 전갈을 듣고 관리소에 확인후 망원 카메라를 들고 새벽에 달려갔다. 가시연꽃은 접근하기가 어렵고 크기가 작아 카메라에 망원렌즈를 장착하여야 제대로 담을 수가 있는 꽃이다. 오늘 처음으로 30여 촉 만나보았는데, 보라색 고운 가시연꽃을 소개해 봅니다 2022. 8. 27.
밀양강 둔치 맥문동 탐방 2022. 8. 14 (일) // 내일이 말복이지만, 여전히 습도가 높고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날씨다. 올해는 밀양 삼문동 소나무숲에 맥문동을 식재하였다기에, 지금쯤 만개하였으리라 짐작을 하고 밀양강 둔치로 애마를 몰았다. 구절초 필때면 자주 가던 청소년 수련관 주차장에 주차를 한 후 구절초 군락지를 지나 강둑을 내려서면 밀양강 둔치가 펼쳐지고 삼문체육공원 뒷편으로 소나무 군락지와 소나무 사이로 맥문동이 보라색 물결을 이루며 방문객을 맞이한다. 강둑 안쪽으로는 구절초를 심어 매년 찾아갔었는데, 올해는 강둑 바깥쪽 솔숲에 맥문동을 식재하여 싱싱하게 자란 보라색 꽃님이들을 만날수가 있었다. 경주 황성공원에는 작황이 좋지않다기에 토요일에는 상주 화북면 이끼계곡을 찾아보고 인접한 상오리솔숲에 맥문동이 만개하였다.. 2022. 8. 18.
전국 최대 대구 안심 연꽃단지 탐방 2022. 7. 30 (토) // 7월의 마지막 주말, 집사람이 모레 미국으로 출국할 일이 생겨 영천 한우단지에서 오찬을 한 후, 귀가길에 국내 연근 생산의 40%를 담당하는 안심 연꽃단지를 찾았다. 안심(반야월) 연꽃단지는 연접한 점새늪과 안심습지, 가남지까지 합치면 전체 면적이 67만평으로 서울 여의도의 80% 크기이다 전국 최대 연꽃단지로 3주전 가남지를 다녀왔길래 오늘은 점새늪 주변으로 조금 돌아보았다 ※ 오늘부터 인천공항 ~ 강원도 설악산 ~ 평창 장전리 이끼계곡 ~ 태백 해바라기 축제를 돌아보며 3일간 나홀로 여름휴가를 떠납니다 / 다녀와서 뵙겠습니다. ※ 인천공항 ~ 강원도 설악산 ~ 평창 장전리 이끼계곡 ~ 태백 해바라기 축제를 돌아보며 3일간 나홀로 여름휴가를 떠납니다 / 다녀와서 뵙겠습.. 2022. 8. 1.
반야월 가남지 연꽃 ... 망원촬영 2022. 7. 12 (화) // 하루 휴가를 얻어 국내 최대 연꽃단지인 대구 동구 반야월 연꽃단지를 찾았다 이곳 반야월 연꽃단지는 가남지, 적새늪, 안심습지등 67만 여평에 펼쳐진 국내 최대 연꽃단지로 우리나라 연근 생산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곳이다. 오늘은 이중에서 조금 일찍 연꽃을 피운다 는 반야월 연꽃단지내 가남지(15천평)로 망원촬영을 다녀오게 되었다. ※ 크게보기 = 화면클릭 ※ 유연불삽(柔軟不澁) // 연꽃의 줄기는 연하고 부드러워 강한 사람에게도 쉽게 꺽이지 않듯이 남의 입장을 이해하고 유연하게 살라는 의미 ※ 성숙청정(成熟淸淨) // 연꽃이 활짝피면 색이 곱고 아름다워 바라보는 마음이 맑아지듯이 몸과 마음이 맑은 사람이 되라는 의미 ※ 면상희이(面相熹怡) // 연꽃은 잎의 모양이 둥글.. 2022. 7. 12.
경산 진못 연꽃 2022. 7. 5 (화) // 진흙탕에서도 고운자태를 않는 연꽃, 오늘은 아침 출근길을 이용하여 근무처 바로 앞 저수지에 자생하는 연꽃을 담아보았다. 경산시 신천동에 소재하는 진못은 넓이가 10만m2(약 3만평)에 달하는 큰 저수지인데 매년 이맘때면 전체 수면의 90% 정도를 연꽃으로 채워가는 곳이다. 해마다 사진으로 담아두는 곳이라 올해도 접사위주로 담아보았다 2022. 7. 8.
경주 기림사 수국 탐방 회고 매년 이맘때면 화려한 수국 축제로 탐방객을 부르는 경주 양북면 기림사의 수국, 미국에 있는 딸이 무척 좋아하던 꽃이라 2년전에 다녀온 수국 사진들을 간추려보았다 올해는 가뭄 탓인지 작황이 좋지않다기에 탐방을 하지 않아 아쉬움이 있지만 옛 추억 불러내며 수국(水菊) 고운 자태와 주변 친구들을 만나본다 Try To Remember / Nana Mouskouri (▶ 클릭) 2022. 7. 5.
송해공원 ~ 대구수목원 여름꽃 탐방 2022. 6. 18 (토) // 오늘은 낮기온이 33도까지 오르며 습도까지 협조하는 바람에 후끈한 하루를 보냈다 당초 생각은 계곡산행을 하며 장노출 출사를 계획하였지만, 주중에 장마소식이 있어 계곡물이 많이 흐를때 다시 찾기로 하고 오늘은 송해공원과 대구수목원으로 여름 야생화 탐방과 폭포를 배경으로 하는 장노출 사진을 담으려 집사람과 출사를 다녀왔다. 수목원에서는 인디언 추장새(후투티)를 만나는 행운까지 호수외곽을 돌며 담아본 수국과 일일초(좌하), 디기탈리스(우하) ND 필터를 이용한 장노출 사진 (송해공원 인공폭포 계곡) 오후에는 대구수목원 ... 2022. 6. 18.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