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나의 산행기667

합천 허굴산 암릉산행 / 대병 4악 2022. 4. 16 (토) // 일교차가 심하지만 화창한 주말, 오늘은 합천군 대병 4악으로 유명한 허굴산으로 갔다 허굴산은 합천군 합천댐을 둘러싼 대병4악(의룡산. 악견산. 금성산. 허굴산)의 하나로 사방 조망이 일품이며 대병면에 단독으로 솟아오른 암릉산행지로 유명한 곳이다. 2018. 9월에 다녀간 산으로 4년만에 계절을 바꾸어 보았는데, 우람한 암릉과 암봉을 지나며 갖가지 봄꽃들을 만났으며 산행거리 8.3km // 6시간 15분이 소요 2022. 4. 16.
칠곡 가산산성 야생화 탐방 2022. 4. 10 (일) // 낮기온이 20도를 훌쩍넘는 초여름의 날씨다. 조금 이른 듯 하지만 매년 4월 하순에 찾아보는 팔공산 가산산성으로 야생화 탐방을 다녀오게 되었다. 가산산성은 복수초 세계최대 군락지로 유명한 곳이며 산성과 계곡 주변에 야생화 천국을 이루는 곳인데 기온이 오르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2주 정도 빠르게 찾아갔었다. 해발 900m 고원이라 복수초는 만개 하였지만, 개별꽃과 제비꽃 현호색등만 담았을뿐 2주 정도가 지나야 야생화 꽃대궐을 이룰것 같았다. 산행거리 9 km // 5시간 30여분이 걸렸다 2022. 4. 12.
가산산성 설경산행 (눈꽃, 상고대) 2022. 3. 19 (토) // 겨우내 건조하고 가뭄이 많았던 지역이라 눈다운 눈을 만나지 못해 아쉬웠는데 비소식과 함께 기온이 내려간다기에 비가 눈으로 바뀔만한 산을 찾던중, 팔공산과 연접한 가산을 찾게되었다 가방을 대충챙겨 기온이 낮아지는 이른시간에 칠곡군 가산으로 달려갔더니 새벽부터 눈이 내리고 있어서 모처럼 멋진 설경산행을 하게되었다. 산행내내 눈이 내리며 눈안개까지 시야를 가려서 맑지 않았지만 하얀눈길과 눈꽃, 상고대까지 만난 산행이 되었다. 산행거리 9.4 km // 4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아래 모든 화면들을 클릭해서 크게 보시면 현장감이 높습니다 (강추) 2022. 3. 19.
경주 시부거리~토함산~추령(백년찻집) 2022. 2. 26 (토) // 예년의 기온을 회복한 주말, 봄이 어디까지 왔는지 알아볼 겸 매년 이맘때 찾아보는 경주 시부거리 야생화 탐방길에 나섰다. 작년보다 1주간 늦게 갔었지만 때늦은 한파로 아직 솜털을 벗지못한 노루귀 몇점 외에는 변산바람꽃도 복수초도 두툼한 낙엽속에 묻혀 아직 늦잠중이라 토함산(745m) 정상을 거쳐 추령고개로 내려오는 산행을 하게되었다. 산행거리 9.9 km // 4시간 40여분이 소요되었고 2022. 2. 26.
간월산~신불산~간월재 겨울산행 2022. 2. 19 (토) // 당초계획은 야생화 탐방이었는데, 지난 추위에 놀랐는지 주요 서식지에서 연통이 없다. 오늘은 눈이 녹아 물이 된다는 雨水 절기날, 마침 울주군 영남알프스 지역에 눈이 온다는 예보를 듣고 K님과 같이 간월산~신불산 연계산행을 다녀오게 되었다. 산행출발 1시간후부터 눈이 내리기 시작 하더니 간월산과 신불산을 돌아본 후 다시 간월재로 내려올 즈음 3시간 30분 가량 내리던 눈이 그치게 되었다 눈이 귀한 지역이라 모처럼 함박눈을 헤집으며 산행거리 17.3 km // 6시간 30여분이 소요되었다 2022. 2. 19.
통도사 慈藏梅~영축산~함박등~죽바우등 종주산행 2022. 2. 12 (토) // 매년 이맘때면 양산 통도사의 자장매가 붉은 꽃망울을 터뜨리는데, 올해는 예년보다 10일정도 늦다고 하지만 몇 송이가 개화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단숨에 달려가 예쁜 홍매(紅梅)를 만나보았다 이른시간에 자장매 부터 알현을 한 후 영남알프스의 남단에 위치한 영축산과 영축지맥을 이루는 함박등~죽바우등 까지 산행을 한 후 통도사로 원점회귀하며 산행거리 13.4 km // 7시간 20분이 걸렸다. 영축산은 6번째 탐방 2022. 2. 13.
덕유산 설경산행 2022. 1. 29 (토) // 설 연휴를 시작하는 첫날, 소백산 태백산과 함께 우리나라 겨울산행지의 최고봉으로 이름을 올린 덕유산으로 들어갔다. 최근에 눈이 오지않아 눈꽃은 기대를 접었지만 아침기온이 많이 내려가서 상고대 정도는 기대를 하였는데 공기중 습도가 적어 바닥에 굳어진 눈길만 밟으며 겨울산행을 다녀왔다 정상부의 체감온도가 영하 15도 정도의 차가운 날씨에 바람까지 불어서 중봉까지만 산행을 하였고 ※ 화면을 클릭 → 큰 화면으로 강추 설 연휴 가족여행으로 2. 2(수) ~ 2. 5(토) 까지 4일간 블방을 쉽니다 ~^^ 2022. 1. 29.
가덕도 복수초 산행 (강금봉~응봉산~매봉) 2022. 1. 15 (토) // 아직은 매서운 바람이 남아있는 1월 중순, 매년 이맘때면 봄보다 먼저 핀다는 복수초를 만나러 남도여행을 떠나는데 올해도 어김없이 부산 강서구 가덕도로 복수초 탐방을 다녀오게 되었다. 가덕도는 2018년도 부터 올해까지 5년째 매년 복수초 탐방을 다녀오는곳으로, 전국에서 복수초가 가장 먼저 피는 곳이다. 작년보다 하루 일찍 찾았는데 아직 첫물이라 10촉 정도 만나 보았다 ※ 4년동안 연대봉 쪽으로 올랐는데, 올해는 처음으로 반대쪽 응봉산~매봉 코스를 이용 행복의 샘터 / 윤정아 2022. 1. 15.
대구 앞산 새해 일출산행 2022. 1. 8 (토) // 새해 두번째 맞는 주말, 자주가는 앞산으로 일출산행을 다녀오게 되었다 새벽 공기가 영하의 쌀쌀한 날씨지만, 아직은 새해를 시작하는 분위기라 새벽산행을 하게되었다 미세먼지 상태가 좋지않아 선명한 일출은 아니어도 맑은 하늘에 붉게 뻗친 검은 호랑이의 기운을 느껴보며 앞산은 일출산행 5번을 포함하여 이번에 22번째 산행이다. 산행거리 6 km // 3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2022. 1. 8.
지리산 바래봉 새해 설경산행 2022. 1. 1 (토) // 임인년 새해 첫날이자 주말이다. 이번겨울에 아직 눈 산행을 제대로 하지못한터라 한파주의보가 내렸지만 겨울산행으로 자주가던 지리산 바래봉으로 새해 첫 산행 겸 설경산행으로 다녀왔다 전북 남원시 운봉읍에 있는 바래봉은 눈이 많기로 소문난 곳이어서 겨울산행지로 거의 매년 가는 곳이다 마침 오늘 아침 기온이 영하 10도까지 내려간다기에 상고대까지 기대하고 갔었지만, 도착즈음부터 기온이 오르며 눈길만 엄청 밟고 다녔는데, 산행거리 12.1 km // 5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2022. 1. 1.
대구 대덕산~만보정~내환지 환종주 2021. 12. 18 (토) // 이번 겨울에 가장 춥다는 한파특보가 내려진 주말이다. 이틀전 장거리 여행을 다녀온터라 오늘은 근교산행으로 계획을 하고 대구스타디움~대덕산~만보정~내환지로 원점회귀 구간을 만들어 출발을 하였다 비슷한 코스로 여러번 산행을 한 곳이라 나홀로 산행으로 출발하였고, 최고봉인 대덕산은 오늘까지 11번째 탐방을 하였는데, 작년 9월에 다녀간후 2년만의 만남이다. 산행거리 9.5 km // 3시간 40여분이 걸렸다 2021. 12. 19.
남덕유산 눈꽃 산행 2021. 12. 8 (수) // 오늘은 겨울답지않게 화창한 날씨다. 직장에서 뜻하지않은 확진자 발생으로 자택에서 자가격리 하면서 갑갑한 심사에 5년전 이맘때 다녀온 남덕유산 눈꽃산행 사진을 올려둔다 남덕유산(1,507m)은 덕유산의 제 2고봉으로 전북 장수군과 경남 향양군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영각사에서 남덕유산~삿갓봉~황점으로 산행거리 10.7 km // 6시간 40여분이 소요되었다. 2021. 12. 8.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