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문(成仁門) 뒷편으로 사육신의 위패가 있는 숭정사, 앞쪽은 사적비도곡재 안뜰에서 바라본 전경 / 200년이 넘은 고택(古宅) ~만권의 서책을 소장하고있는 만권당(萬券堂)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강정고령보 / 고령군 다사면과 달성군 다사읍을 잇는 보(洑)
2021. 5. 15 (토) // 오늘부터 3일간 비가 온다는 예보가 있어서 낙동강 우중 트레킹을 다녀왔다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를 거쳐 성주대교앞 하목정에서 하빈 수변공원~강정고령보까지 녹색길을 걸었는데
이미 두차례 걸어본 길이다. 당초계획은 육신사에서 강정고령보까지 18km 구간을 계획하였지만
육신사에서 하목정까지 산길 6km구간은 비 때문에 승용차로 우회, 하목정에서 출발하였다
하목정~하빈지구 수변공원~강정고령보 ※ 12.3 km // 3시간 정도 소요육신사에서 내려본 묘골마을 전경06:57 // 달성군 하빈면 묘리 육신사 주차장에 주차한 후 육신사 탐방 ~사육신기념관을 지나고육신사 ~ 하목정 ~ 하빈 수변공원 ~ 강정보까지 이어지는 강정보 녹색길이다육신사(六臣祠)가 있는 묘골마을은 사육신의 한분이신 박팽년의 후손들이 모여사는 순천박씨 집성촌이다
육신사(六臣祠)가 있는 묘골마을에 얽힌 "박비(朴婢)" 내력을 살펴보자
※ 1456년 6월 사육신을 포함한 충신들이 피바람 속에 숨져간지 몇 달이 흐른뒤인
그해 늦가을, 경북 달성군 하빈면 묘리의 교동현감 댁에서는 두아이가 태어났다.
한 아이는 박팽년 대감의 손자였고 또 한아이는 그 댁 노비의 딸이었다.
핏덩이를 안은 박팽년 대감의 둘째 며느리 성주 이씨는 만감이 교차했다
시할아버지 박중림과 시아버지 박팽년의 5형제, 남편 박순을 포함한 3형제까지
집안의 남자 9명은 모두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집안의 여자들은 관노비가 되어
전국으로 뿔뿔이 흩어졌는데 아버지인 교동현감 이철근의 친정댁으로
관노비로 갈 수 있었던 것은 그나마 큰 행운 이었다.
“아이가 사내면 죽이고 계집아이면 관노비로 보내라” 는 나라의 서슬퍼런
엄명이 떨어져 걱정이 태산 같은데 마침 친정댁의 한 노비가 비슷한 시기에 딸을 낳았다.
며느리는 무릎을 치며 서로 아이를 바꾸면 이 아이는 죽음을 면하리라...박팽년 대감의 손자는
이렇게 현감댁 노비의 아들 “박비” 라는 이름으로 그 질긴 목숨을 잇게 되었고
성종대에 사면을 받은후 550년이 지난 지금까지 박팽년 대감의 후손을
20대나 이어올 수 있는 단초가 되었다고 한다
외할아버지에 의하여 박비(朴婢)라는 이름으로 비밀리에 키워진 이 아이가
17세 되었을때 그의 이모부 이극균이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처가에 들렀다가
성장한 그를 보고 자수를 권하였고, 서울로 올라간 박비는 성종대왕으로부터
사면을 받게 되었다. 박비(朴婢)로 불렸던 박팽년의 손자는 성종으로부터
박일산(朴一珊)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고 후손이 없는 외가의 재산을
물려받아 묘골에 종택을 지으면서 후손들이 정착하였다고 한다
충효당 / 인조 22년 박팽년의 7대손 금산군수 숭고가 세운 별당으로 문중의 교육장소로 사용 ~마을 입구부터 기품 넘치는 한옥들이 ...입구 한옥에서 좌측으로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 회장의 부인 박두을 여사의 생가부터마을입구에서 ... 봄비 촉촉하게 젖은 5월의 꽃 창포박두을 여사의 생가 / 박두을 여사는 박팽년의 후손으로 21세에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과 혼인하였다고 한다토담길 골목에는 꽃양귀비와 낮달맞이꽃들이 가지런하게 피어있고 ...만권당(萬券堂) / 문중의 서고인데 만권의 서책을 소장하였다하여 만권당이다만권당 안뜰로 ... 붉은 작약꽃이 피어있는 소담한 정원이 눈길을 끄네요만권당 바깥 골목에도 작약꽃들이 길손맞이에 ...조금더 윗쪽으로 올라가며 ...도곡재 / 1778년 대사성을 지낸 박문현이 지은 재실로 묘골마을에서는 가장 오래된 한옥이라고 한다관리인의 허락을 받아 안뜰로 들어가 보니...간결하면서도 기품이 넘치는 도곡재 / 박문현이 세웠으나 후손 박종우의 호를 따서 도곡재라 불리었다.도곡재 대문옆 창포들이 자라는 작은 연못과 정원 ~뜰 뒷편에도 패랭이꽃과 꽃양귀비들이 활짝이고 ...충절을 지키며 절의를 굽히지않은 선조들의 넋을 기리는 듯 붉은 꽃양귀비가 더없이 애절해 보이네요연록색 잎과 잘 어울리는 ... 분홍달개비꽃도곡재 안쪽에서 대문쪽으로 담아본 전경 ...육신사 / 원래는 박팽년을 모시는 사당이었으나 다른 사육신들은 후손이 없어서 후대에 여섯분을 같이 모시고 있다고 하네요충절문 안쪽으로 들어서니, 작은 연못에는 벌써 수련꽃이 곱게 반겨준다성인문(成仁門) 이라 쓰여진 육신사 사당과 사적비사적비 옆으로 ... 박정희 대통령, 최규하 대통령, 박준규 국회의장의 휘호가 있다
우측으로 태고정 / 보물 554호로 지정된 옛 종가집 별당건물육신사를 돌아나오며 핸폰으로 한장 남기고 ...높직한 토담과 솟을대문까지 명문가의 품격을 지켜나가는 집성촌이다집안쪽에는 붉은빛 뚝뚝 떨어지는 꽃양귀비가 자리하고 ...육신사에서 승용차로 20여분 이동하여 성주대교앞 하목정으로 들어간다오늘의 트레킹 출발지, 하목정을 찾았더니 ... 코로나 방역으로 빗장이 굳게 걸려있다※ 하는수 없이 2년전 9월에 담아온 사진으로 대체코자 한다
댓글